반응형
갤럭시워치를 구입하셨다면 꼭 사용해봐야 할 기능이 바로 “혈압 측정”입니다.
특히 건강관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이 기능만으로도 갤럭시워치를 더욱 가치 있게 사용할 수 있어요.
“갤럭시워치에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고?”
“삼성헬스? 삼성헬스모니터? 뭐가 다른 거지?”
“혈압계도 꼭 있어야 하나요?”
이 글에서는 지원모델부터 필요한 준비물, 설치 및 측정 과정,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특히 갤럭시워치 7을 포함한 모든 지원 모델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
✅ 목차
1. 갤럭시워치 혈압측정 지원 모델
📌 워치 지원 기기
- 갤럭시워치 액티브2 이상
- 갤럭시워치3, 워치4, 워치5, 워치6, 최신 워치7
- 갤럭시워치 울트라 포함
📱 스마트폰 조건
- 갤럭시 스마트폰 2019년 이후 모델
- 안드로이드 9.0 이상 필수
💡 워치 단독으로는 혈압 측정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갤럭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야 합니다.
2. 준비물 체크리스트
준비물설명
갤럭시워치 | 액티브2 이상 모델 필요 |
갤럭시 스마트폰 | 삼성 헬스 모니터 연동용, 안드로이드 9 이상 |
혈압계 | 커프(팔뚝 착용형) 방식, 보정 측정을 위한 필수 항목 |
📝 갤럭시워치는 직접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혈압계로 측정한 수치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보정하여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3. 갤럭시워치 혈압 측정 방법 (3단계)
🔹 Step 1. 워치에서 삼성 헬스 모니터 앱 설치
- 워치 화면을 위로 쓸어올려 앱 목록 열기
- [삼성 헬스]가 아니라, ‘삼성 헬스 모니터’ 아이콘을 터치 (심박수 모양)
- [허용] → [혈압] → [앱 다운로드] 누르기
- 자동으로 스마트폰에서 갤럭시 스토어가 실행되고 앱 설치
아이콘에 텍스트가 없어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
🔹 Step 2. 스마트폰에서 삼성 헬스 모니터 실행
- 앱 설치 후 [실행] → [모든 권한 허용] → [동의]
- 프로필 입력 (정확한 생체 데이터 기입 필수)
- ‘워치 보정하기’ 선택 → ‘다음’ 계속 클릭하여 안내 완료
🔹 Step 3. 혈압 측정 & 보정 시작
- 한쪽 팔에는 혈압계, 다른 손목에는 갤럭시워치 착용
- 앱에서 ‘다음’ 클릭 → 워치에서 측정 시작
- 측정 완료 후 혈압계 수치를 스마트폰에 직접 입력
- 위 과정을 총 3회 반복
✔ 3회 보정 측정은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필수 단계입니다.
4.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주의사항
❗ 손목 착용 위치가 중요
- 손목뼈와 워치 사이에 손가락 한 개 틈이 있어야 함
- 너무 꽉 조이거나 헐거우면 오류 발생
❗ 센서 정확도 이슈
- 워치3~6 시리즈는 측정 오류 빈도가 높지만, 여러 번 시도하면 측정됨
- 워치7과 울트라 모델은 개선됨
❗ 22세 미만 사용자 사용 불가
❗ 매월 1회 이상 보정 필요
- 한 번만 하고 끝이 아님!
- 1개월마다 혈압계로 보정 측정 다시 해야 함
💬 마무리 정리
항목요약 내용
측정 앱 위치 | 삼성헬스 ❌ → 삼성 헬스 모니터 앱에서 실행 |
직접 측정 여부 | ❌ 직접 측정 아님. 혈압계 보정 필수 |
측정 횟수 | 3회 반복 보정 측정으로 정확도 향상 |
연령 제한 | 만 22세 이상부터 측정 가능 |
주기적 보정 필요 여부 | 매월 1회 이상 보정 필수 |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갤럭시워치를 구입하고 건강관리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고 싶은 분
- 고혈압 등 혈압 관리가 필요한 중장년층 사용자
- 부모님 스마트워치를 선물했지만 활용도가 낮아 고민인 분
- 삼성헬스와 삼성헬스모니터를 혼동하고 있던 분
728x90
반응형
'정보 > 워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워치8, 왜 혈당 측정 기능이 빠졌을까? 기대와 현실의 간극 (1) | 2025.05.22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