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월급쟁이 부자들을 보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일부 개인의 의견이 포함되어있으니 참고해서 봐주세요.(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니 신중히 선택하셔야 합니다.)
목차
- 현재 상황 -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 것인가?
- 경기 침체의 신호 그리고 현상은 무엇일까?
- 만약 ‘경기 침체가 온다면’ 집값은?
- 현재 상황 -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 것인가?
- 요즘 뉴스
- 6월 소비자 물가 6% 급등 - 98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
- 미 연준 “물가 잡을 때까지 금리 인상 지속”
- IMF 총재 “세계 경제전망 상당히 어두워져” 경기침체 배제 못해
- 경기침체 공포에 국제 유가 급락 - 두 달 만에 최저가
- 현재 배경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인플레 실종, 디플레 우려 - 완화적 통화정책
- 현재까지 돈을 아무리 풀어도 인플레가 발생하지 않았음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 지난 10년간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 코로나 발생
- 모든 경제활동 마비 - 성장률 둔화 발생
- 공포감 발생
- 엄청난 돈 풀기
- 2020.03 무려 1% 인하
- 유동성 폭증
- 미 연준 자산 5000조에서 1경으로 2배 증가 - 코로나 이후 2년간
- 물가 상승률 증가
- 코로나 이후 1년 시점에 물가 상승률 회복하기 시작함 - 미국 기준
- 인플레? 오나? -> 괜찮다 판단함
-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전쟁 발생 (2022.2)
- 곡물 생산 차질 밀값 상승
- 러시아 제재 -> 유가상승
- 금리 인상 시작
- 3월 Baby -> 5월 Big -> 6월 Giant -> 7월 Giant?
- 경기 침체 우려
- 유가 하락, 환율 급등
- 그다음은?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인플레 실종, 디플레 우려 - 완화적 통화정책
- 요즘 뉴스
- 경기 침체의 신호 그리고 현상은 무엇일까?
- 신호
- 간단히 장기 단기 금리를 설명하면
- 단기 금리 변동성이 적음
- 장기 금리 변동성이 높음
- 미래가 좋다 생각하면 금리가 높다
- 미래가 나쁘다 생각하면 금리가 낮다
- 장단기 금리차
-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어서 마이너스가 되는 현상
- 앞으로 경기가 나빠질 거라 생각이 커진 것임
- 장단기 금리가 (-)가 되면 평균 18개월 후 경기침체가 발생했음
- 지금 현재 마이너스임
- 경기 침체의 첫 번째 신호인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가 발생했으니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는 뉴스가 나오는 것임
- 선행 지수 순환변동치
- 9가지 요인 섞어서 지수로 만든 것임
- 예로 건설수주액이 감소, 구직자 수 감소 등
- 현재 우리나라
- 고점 찍고 평균 6개월 후 경기침체
- 우리나라는 고점 찍고 10개월이 지남
- 9가지 요인 섞어서 지수로 만든 것임
- 간단히 장기 단기 금리를 설명하면
- 현상
- 경제 성장률
- 실질 성장률
- 명목 - 물가 = 현재(-)
- 미국의 (-) 임
- 실업률
- 월 단위 실업률
- 현재 3%대 - 아직 양호
- 현재 상황
- 미국
- 22년 1분기 실질 성장률(-) 1.4%
- 22년 5월 실업률 3.6%
- 대한민국
- 22년 1분기 실질 성장률(+) 3.0%
- 22년 1분기 실업률 3.5%
- “아직 침체가 온 건 아니다”가 팩트.
- 미국
- 신호
- 만약 ‘경기 침체가 온다면’ 집값은? - 너나위님
- 실질 GDP 성장률 vs 실업률 vs 집값 변화율을 분석 결과
- 실업률이 높아지면 집값이 떨어진다는 연관성이 적어 보인다.
- 오히려 버블 후 경기침체가 오면서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이때 수반돼서 발생하는 현상이 실업률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 호황 -> 자산 가격 상승 -> 버블 -> 위치와 침체 -> 자산 가격 하락
- 정리 - 경기 침체가 가시화되어 ‘실업률 상승’이란 현상이 나타나면 그 시기적 특성(호황-상승-불황-하락)상 ‘이미 상승하여 버블이 발생한’ 자산 시장은 좋을 수가 없다.
- 그런데… 매크로 분석의 결과(실업률 상승 = 집값 하락)는 정말 진리일까?
- 서울 핵심지 40평대 매매, 전세를 분석해봤습니다.
- 06년 22억에서 12년에 10억으로 떨어짐
- 떨어지는 이 시기에 실업률 높음
- 같은 시기 창원 아파트 분석
- 고 실업률 일 때 집값이 엄청 상승함 2억 -> 3억 3천
- 주된 요인
- 수요공급 상황이 좋았음
- 창원 베이스로 둔 기관 산업들이 호황이었음
- 서울 핵심지 40평대 매매, 전세를 분석해봤습니다.
- 거시적 요인만으로 단순히 모든 부동산을 판단할 수 없다.
- 국내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 산업 특성, 그로 인한 지역별 경기 상황, 지역별 공급 상황까지 모두 종합하여 상황을 확인하고 판단해야 함
- 실질 GDP 성장률 vs 실업률 vs 집값 변화율을 분석 결과
참고 - 2022년 7월 12일
728x90
반응형
'투자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사상 첫 '빅스텝' ! 금리 인상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총정리 (1) | 2022.07.18 |
---|---|
[리뷰] 하락장 시작되면 이곳 큰일 날 수 있습니다 (0) | 2022.07.14 |
[리뷰] 6.21 부동산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에 찾아올 엄청난 변화 - 2 (0) | 2022.07.06 |
[리뷰] 6.21 부동산 대책으로 부동산 시장에 찾아올 엄청난 변화 (0) | 2022.07.05 |
[리뷰] 앞으로 부동산 시장에 찾아오는 변화! 이렇게 된다. (2) | 2022.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