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부동산

[리뷰] 인플레보다 더 큰 공포,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까?

by blacktree 2022. 6. 17.
반응형

오늘은 월급쟁이부자들을 보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일부 개인의 의견이 있으니 참고해서 봐주세요.(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니 신중히 선택하셔야 합니다.)

 

 

요즘 뉴스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얘기가 많이 나온다.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高)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 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또한 경제학에서 스태그플레이션 혹은 경기침체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지수가 높고, 경제 성장 지수는 낮으며 실업률은 높은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을 말한다. - 위키백과

 

불경기(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그 특징상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의 최대 경계 사태이기도 하다. 주원인은 환율 혹은 유가의 대규모 변동으로 1970년대 오일 쇼크 당시 한국도 어마어마한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었다. - 나무 위키

 

간단히 얘기하면 저성장 고물가인 상태입니다.

 

현재 상황을 보면

2022년 1분기 전 국민 성장률 0.6% -> 단순 계산 올해 2.4% 상승

물가 상승은 5~6%

우리나라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데 해외도 상황이 안 좋아지고 있다.(우르라이나 사태 등등)

 

한국은행은 물가 최우선으로 하고 있고 스태그 가능성은 낮다고 하고 있다.

박 부총재보 민간소비 좋아지고 있어서 괜찮다.

 

 

왜 생기고 어떻게 되는 거야?

코로나19 발병 -> 경기침체 -> 통화부양책(유동성↑)

전 세계적으로 자산 가격 상승(공급 문제 발생) -> 인플레이션 -> 골든타임 경과(일시적 인플레이션)

물가폭등 -> 빅 스텝 -> 경기 침체 요인(오미크론 재확산, 전쟁, 금리 인상)

 

여기서 예상 가능한 2가지 시나리오가 있다.

  1. 경기침체가 심해지거나 알 수 없는 쇼크가 온다면 -> 스태그 플레이션
  2. 물가 안정 -> 안전 국면 진입

 

과거와 현재

과거

  • 1,2차 오일쇼크 -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스태그플레이션
  • IMF 외환위기 -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몇 개국만 해당
  • 글로벌 금융위기 - 장기화되지 못해서 금방 극복함

현재

  • 과거와 비슷한 모양새로 가고 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면 부동산은 어떻게 될까?

  • 1,2차 오일쇼크 : 부동산 시장 안 좋음
    • 국내 : 15~20% 떨어짐
    • 해외 : 미국 3년 동안 8~10% 이상 떨어짐
  • 2008년도 국토연구원의 ‘스태크플레이션과 주택시장 보고서’
    • 지속적인 물가상승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 헷지로 실물자산을 선호하는 경향
    • 그렇지만 주택 등 부동산은 일반 재화와 달리 고가의 투자자산 성격을 가진 재화이며, 경기침에 따른 리스크가 높아지면 주택 구매 및 투자수요가 위축
    • 원자재 가격의 상승은 분양 가격 인상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주택수요 위축에 따라 분양 가격 상승은 제한적으로 나타남
    • 수요 위축과 건설비용의 증가로 주택공급은 감소

 

스태그플레이션이 왔을 때 좋은 사람과 안 좋은 사람

  • 좋은 사람 
    • 현금 보유 + 평점심 유지 
    •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면 기회가 될 수 있음
    • (역사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에 의한 실질 가격 하락은 대부분 기회였음)
  • 안 좋은 사람
    • 과다한 부채를 가지고 있는 사람
    •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한 급락, 금융비용 상승에 실업 등 
    • 사회적 이슈까지 겹친다면 보유자산을 지키기 어려워짐
    • (역사적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시기에 낮은 가격에 낮은 가격에 매도하는 사람)

 

결론

요즘 같은 시기에는 본인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계속해서 주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과 안 올 것에 대비해서 현금과 실물자산 등의 분배를 다시 생각해보고 부채는 줄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5HMOZ2tcuGg&ab_channel=%EC%9B%94%EA%B8%89%EC%9F%81%EC%9D%B4%EB%B6%80%EC%9E%90%EB%93%A4TV

728x90
반응형

댓글